Defensive Measure

 all  right reserved (c) Son Jongjun 2014

profile

artwork

contact

press

Son Jongjun

concept

critique

Nomadic Navajo

Defensive Measure

Defensive Measure

 

 

손 종 준 (작가노트)

 

심화되어가는 현대사회 속에서 인간성의 획일화와 더불어 개인주의적 풍토가 만연화 되어가는 이 시점에 사람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한 상호공격적인 성향을 드러내고 있다.

반면, 그 공격성에 의한 필요이상의 충격방지대책을 취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 현실세계를 살아가는 인간이 공통적인 행동양식이 아닐까.

나는 이러한 필요이상의 방어수단, 자위적 조치(Defensive Measure)를 표현함으로서, 기계가 지배하는 현대사회 안에서 인간성이 물질화되어가는 이 시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Son Jongjun(artist note)

 

Defensive Measure

In the complicated present society, personal characters are getting standardized.

Also, people show their aggression toward others to keep their interests.

On the other hands, they make their own defensive measure to protect themselves and their interests. Sometimes, it hurts them because it is strong too much.

I think this is the way people do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expressing defensive measure more than needs, I am trying to criticize this age in which people replace humanity with material value.

 

 

 

 

 

 

 

‘아무리 단순한 기술이라도 인공적인 산물이 인체와 결합되었다면 그것은 이미 사이보그’라는 견해도 있다.

-Donna Haraway, "A Cyborg Manifesto (New York; Routledge, 1991), pp.149-181.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기계를 장착하여 개체의 여러 기능을 조절하고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인체에 심박조절기를 삽입하거나, 당뇨병치료를 위해 인슐린 주입기를 부착한 사람도 이미 사이보그개념에 속하는 셈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보청기,콘텍트 렌즈의 사용까지도 넓은 의미에서 사이보그라 할 수 있다.

-Rowan Hooper, "Spear-wielding chimps snack on skewered bushbabies," New Scientist 22 February 2007

 

본인이 제작하는 작품의 테마로서 주로 사용하는 <Defensive Measure>라는 영문은 ‘방어수단’, ‘자위적 조치’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 사실 Defensive Measure라는 의미는 주로 미군의 국외작전조치 등에 주로 쓰이는 말이다.

-Defensive Measure

(예를 들어 공산권으로서 미국과 마지막 적대국으로 있는 북한이 군사적 행동을 감행했을 때, 한국 내 주둔해 있는 미8군사령부와, 일본에 주둔해 있는 오키나와 미국해병대에게 미국의 국방성에서 하달되어지는 군사적 방어조치, 또는 자위적 방어조치, 즉 군사적방어에 관련한 명령체계를 ‘Defensive Measure’라고 한다.)

본인은 이러한 ‘자위적 조치’라고 하는 단어적 개념성에 부분적으로 착안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Defensive Measure의 개념을 설명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어휘 중, ‘방어수단’, ‘자위적 조치’ 등은, 외형적으로 영웅성을 창출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적 성격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작품의 내용에 비추어 설명할 때, 이는 곧 넓은 개념의 사이보그 개념과 일치한다고 생각한다. 사이보그는 ‘아무리 단순한 기술이라도 인공적 산물이 인체와 결합되어 있다면 그것은 이미 사이보그이다’라고 말한 다나 해러웨이의 견해처럼 물직적으로든, 심적으로든, 어떠한 물질적 대상으로부터 유형 또는 무형의 형태로 인간이 ‘도움’을 받게 된다면 그것은 곧 작가만이 가지고 있는 조형적 감각을 이용하여 작품으로서 표현하고자 하는 Defensive Measure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사이보그적 역할을 하게 되지 않는가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인은, 이러한 Defensive Measure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인간, 혹은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는 하나의 ‘도구’를 생산하듯이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해 줄 착용자를 선별하기 위한 과정을 거친 후에, 그 선별과정 속에서 사회적으로 소외되는 계층, 혹은 사회적으로 소외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현대사회의 커다란 굴레속에서 자연적 인간성과 서서히 소원해지고 있는 ‘인간’을 찾아내어 작품에 대입시키고 있다.

본인의 작품의 외형적 특성은 ‘방어 Defensive’라고 하는 본연의 역할성을 차용한 사이보그, 그 사이보그의 특징적인 외형적 특성을 다시 차용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그리고 그렇게 완성된 하나의 ‘도구’로서의 착용을 통하여, 사회적으로 소외당하는, 소외당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으로 사회의 테두리안에서 서서히 자연적 인간미를 잃어가며 살아가는 ‘인간’들이 Hero로 다시 탈바꿈하는 과정과, 그에 따른 심적반응 및 효과 등을 사진으로 담고 있다. 이를 위해 본인은, 조각작품을 Hero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기 위한 ‘도구’로서 취급하여, 이를 모델에게 대입하고 거리에서 퍼포먼스를 진행하는 방식을, 그의 작품테마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채택하고 있다. 본인은 팝아트 작가들이 그리하였던 것처럼, 대중과 작가의 소통을 매우 중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곧 작가를 위한 미술, 미술을 위한 미술이 아닌, 대중을 위한 미술이라고 생각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인의 작품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사회인들에게 직접적으로 거리에서 보여줌을 통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대입시킴을 통하여, 소외 및 단절이 아닌 ‘소통의 사회’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반인들도 누구나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Hero(여기서는 ‘리더’로서의 Hero개념이 더욱 쉽게 통용되겠다.)적 역할성을 가지고 싶어하며, 어떠한 기능적, 이미지적인 요소로 인해 자신이 영웅적 이미지로서, 타인 혹은 사회의 공격으로부터 이겨낼 수 있는 존재가 될 수 있다라고 하는 본 작품 테마는, 이러한 ‘Defensive Measure, 즉 자위적 조치가 모든 일반인에게도 필요할 것이며 통용이 가능할 것이다’라는 개념을 역설적인 표현양식을 통해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해, 이러한 역설적 표현은 우리 눈에 보이는 분명한 사회적 소외계층, 예를들면 신체 및 정신적 장애인들이 그들의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발현해 내는 행동양상, 그들이 상상하며 추구하고자 하는 보이지 않는 표상과 같은 개념의 ‘그 무언가’를 우리가 일반인이라고 말하는 모든 인간 또한, 각양각색으로 얻고자 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함이다. ‘그 무언가’는 여러가지 의미를 내포하는데, 예를 들면 사회적 의미에서의 경제력, 정치력, 권력 등을 의미하며, 자신에게 부족하다고 느끼는 모든 것을 내포하며, 결국 자신을 감추려고 하거나 자신을 우월하게끔 느끼게 하는 것, 즉 ‘힘’을 의미한다. 이러한 광범위한 의미에서의 ‘힘’은 이 사회를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사회가 요구하는 ‘사회성’을 구비하기 위한 원동력을 발생하게 하며, 그러한 ‘힘’은 다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본인의 Defensive Measure개념은 개인이 속한 사회에서의 Hero가 되기 위한 ‘힘’을 표현하는 포괄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